프로그래밍 언어/TiberoDB

TiberoDB_공유디스크 환경에서의 Tibero6 설치

OHSAYU 2023. 7. 20. 05:39

1. Oracle VM VirtualBox에서 리눅스 서버 2개 생성

 - 시스템 기본 메모리 및 디스크 파일 크기 동일하게 생성

 

2. 공유디스크 생성

 - 서버는 전원을 끈 상태에서 작업

 - 크기는 반드시 동적 할당이 아닌 고정 크기로 진행

 - 만들어진 공유디스크는 상태를 변경하려면 가상서버와 연결 삭제

'연결 삭제하기'는 우측의 종류를 일반이 아닌 공유로 변경하기 위해 서버와의 연결을 끊어주는것이다. 디스크 삭제가 아니다.
생성한 공유디스크를 클릭하고 상단에 '속성(P)' 버튼 클릭
종류(T) : '공유 가능'으로 변경 후 하단 '적용' 버튼 클릭 후 '닫기' 버튼 클릭
다시 공유디스크를 만들었던 서버의 설정 - 저장소 화면으로 돌아가서 '디스크 추가하기' 아이콘 클릭
생성 한 공유디스크 선택
종류(형식): 공유 가능 으로 상태가 변경되면 성공
추가로 만든 서버에도 설정 - 저장소 - 디스크 추가하기 후 생성한 공유디스크를 선택
첫번째 서버 접속 후 df -h 명령어로 확인해보면 아직 공유디스크가 생성되지 않았다. 리눅스에서는 디스크에 파티션을 생성 후 포맷해야 사용가능하다.
fdisk /dev/sdb 명령어를 입력 후 파티션을 생성해보자
옵션 'm'을 입력해 메뉴얼 확인 후 옵션 'n' 입력으로 파티션 생성
옵션 'p' 입력으로 주 파티션으로 만들기
파티션 숫자 설정. 이어서 First Sector, Last Sector가 나오면 Default값으로 진행(엔터키, 디폴트로 진행할 경우에는 하드디스크 용량 전체 사용)
생성 완료
mkfs.ext4 /dev/sdb1 명령어로 ext4 시스템으로 포맷
다시 fdisk -l 명령어로 조회해보면 생성 완료
리눅스에서 하드디스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파티션을 특정 디렉터리에 마운트 진행
df -h로 확인해보면 공유디스크 생성이 완료된게 확인
이후 유저 2개에 티베로 설치
마운트 해제 umount
두번째 서버에서 첫번째 서버에서 생성한 폴더 생성 후 마운트

 

이후 첫번째 서버와 같이 유저 생성 및 파라미터 확인 후 기동

tbboot로 새로운 서버에서도 잘 기동되는지 확인
두번째 유저도 완료

 

 

수고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