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sql
- 파이썬
- Python DataFrame
- 파이썬 알고리즘
- 리눅스
- it 용어
- it용어
- Algorithm
- C#
- linux
- Python 라이브러리
- VirtualBox
- Oracle VM VirtualBox
- 데이터베이스
- python algorithm
- 알고리즘
- HTML
- MariaDB
- RFP
- PYTHON
- csharp
- 파이썬 데이터프레임
- 코딩테스트
- 파이썬 전처리
- tibero
- Oracle
- 리눅스 명령어
- 오라클
- dbeaver
- putty
- Today
- Total
오경석의 개발노트
IT 용어_스키마(Schema) 본문
스키마(schema) : 계획이나 도식(圖式)을 가리키는 영어 낱말. '형태'나 '모양'을 뜻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
데이터베이스 스키마(database schema) : 데이터베이스에서 자료의 구조, 자료의 표현 방법, 자료 간의 관계를 형식 언어로 정의한 구조. 여기에는 테이블 이름, 필드, 데이터 유형, 엔터티 간의 관계 등 논리적 제약조건이 포함된다.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이 주어진 설정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생성하며, 데이터베이스 사용자가 자료를 저장, 조회, 삭제, 변경할 때 DBMS는 자신이 생성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참조하여 명령을 수행.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설계 프로세스를 데이터 모델링이라고도 한다.
스키마는 3층 구조로 되어있다.
- 외부 스키마(External Schema) : 프로그래머나 사용자 입장에서 데이터베이스의 모습으로 조직의 일부분을 정의한 것
- 개념 스키마(Conceptual Schema) : 모든 응용 시스템과 사용자들이 필요로하는 데이터를 통합한 조직 전체의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논리적으로 정의한 것
- 내부 스키마(Internal Schema) :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 저장 형태를 기술하는 것
이렇게 3단계로 개념이 분리되면서 각각의 영역에 대한 독립성을 지정하는 용어가 바로 논리적인 독립성과 물리적인 독립성이다.
출처 : https://ko.wikipedia.org/wiki/%EC%8A%A4%ED%82%A4%EB%A7%88
스키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스키마(schema)는 계획이나 도식(圖式)을 가리키는 영어 낱말로, 다음을 가리킨다. 참고로 스킴(scheme)은 스키마와 거의 같은 의미로 쓰이나, 보통 스키마가 대략
ko.wikipedia.org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미디어위키의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개요 컴퓨터 과학에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database schema)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자료의 구조, 자료의 표현 방법, 자료 간의
ko.wikipedia.org
출처 : https://www.ibm.com/kr-ko/topics/database-schema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란? | IBM
데이터베이스 스키마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정의하고 구조화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www.ibm.com
출처 : https://www.hedleyonline.com/ko/blog/%EC%8A%A4%ED%82%A4%EB%A7%88/
'기타 > IT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용어_릴레이션(relation) (0) | 2023.11.02 |
---|---|
IT 용어_관계차수(Cardinality) (0) | 2023.11.02 |
IT 용어_revision(리비전) (0) | 2023.07.16 |
IT 용어_컴퓨터의 저장 단위 (0) | 2023.07.04 |
IT 용어_환경 변수 (0) | 2023.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