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코딩테스트
- C#
- 파이썬 전처리
- csharp
- tibero
- 데이터베이스
- 오라클
- linux
- RFP
- 파이썬 알고리즘
- Algorithm
- Oracle VM VirtualBox
- it용어
- Python 라이브러리
- VirtualBox
- 파이썬 데이터프레임
- putty
- 파이썬
- 알고리즘
- 리눅스
- HTML
- MariaDB
- 리눅스 명령어
- Oracle
- it 용어
- dbeaver
- python algorithm
- PYTHON
- sql
- Python DataFrame
- Today
- Total
목록linux (12)
오경석의 개발노트

리눅스 파일디스크 사용량 관련 명령어는 대표적으로 du, df가 있다. 두 명령어의 공통점과 차이점, 각각의 용도를 알아보자. du 명령어는 df 명령어와 함께 리눅스 디스크의 사용량을 점검하고 체크하는 가장 실무적인 기본명령어이다. 차이점은 df 명령어가 파티션(파일시스템) 단위의 디스크 사용량을 점검하는데 주로 사용된다면 du 명령어는 특정 디렉터리 또는 파일을 대상으로 그 용량을 확인하는 명령어다. ■ du du(disk usage)는 파일 및 디렉터리 사용량을 측정한다. 명령어를 사용할때 특정 디렉터리를 지정하지 않으면 현재 디렉터리에 있는 디렉터리와 그 하위 디렉터리에 있는 모든 디렉터리의 용량을 재귀적으로 탐색하면서 출력한다. 전체 용량까지 '.'이라는 경로로 가장 하단에 출력한다. 애스..

■ SCP(Secure Copy Protocol) : 리눅스, 유닉스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서버 간 파일을 복사할 때 사용하고 ssh 프로토콜 이용 ■ 사용법 1. 로컬에서 원격으로 전송 scp [옵션] [파일명1][파일명2] [유저명]@[호스트]:[복사할 경로] scp -P 22 /myfolder2/* root@192.168.56.102:/myfolder1 # 예시 2. 원격에서 로컬 전송 scp [옵션] [유저명]@[호스트]:[파일명1][파일명2] [복사할 경로] scp root@192.168.56.101:/myfolder2/* /myfolder1/ # 예시 3. 원격지간 전송 scp [옵션] [유저명]@[호스트]:[대상 파일] [유저명]@[호스트]:[복사할 경로] scp root@192.168.56..

■ Secure Shell(SSH) : 네트워크 상의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하거나 원격 시스템에서 명령을 실행하고 다른 시스템으로 파일을 복사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응용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토콜을 가리킨다. 기존의 rsh, rlogin, 텔넷 등을 좀 더 보안이 강화된 명령으로 대체하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강력한 인증 방법 및 안전하지 못한 네트워크에서 안전하게 통신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기본적으로는 22번 포트를 사용한다. SSH는 암호화 기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통신이 노출된다고 하더라도 이해할 수 없는 암호화된 문자로 보인다. 대표적으로 데이터 전송, 원격 제어에 사용된다. ■ 주요 기능 - 보안 접속을 통한 rsh, rcp, rlogin, rexec, telnet, ftp 등을 제공 -..

■ chgrp(change group) : 파일 시스템 오브젝트에 연결된 그룹을 변경하는 명령어. 그룹을 변경하려면 슈퍼유저(root) 권한이거나 파일 소유자여야한다. 또한 현재 사용자는 그룹이 지정한 그룹 프로파일에 대한 *USE 권한이 있어야 한다. ■ 구조 chgrp [options] group sample [sample2...] ■ 옵션 ● -R : 재귀적으로 파일들과 디렉터리들의 모드들을 바꾼다. ※ -R 이외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아 생략 ■ 예시 ● sample 디렉터리의 그룹을 user1으로 변경 [root@TEST test]# ls -l total 0 drwxr-xr-x. 2 root root 6 Jan 15 03:57 sample [root@TEST test]# chgrp user1 sa..

■ chmod(change mode) : 파일들이나 디렉터리의 파일 시스템 모드들을 바꾸는 셸 명령어. ■ 사용법 chmod [options] mode[,mode] file [file2 ...] ■ 구조 현재 어떤 허가들이 있는지 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입력 ls -l file 1. 디렉터리(d) or 파일(-)의 여부 2. owner(소유자) 권한 3. group(그룹) 권한 4. other(다른 사용자) 권한 5. owner(소유자) 이름 6. group(그룹) 이름 ■ 옵션 ● -R : 재귀적으로 파일들과 디렉터리들의 모드들을 바꾼다. ※ -R 이외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아 생략 1. Symbolic method - 문자열 모드 파일들이나 디렉터리들의 모드를 조절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은 기호적인 ..

Linux : 1991년 핀란드의 리누스 토발즈가 개발한 운영체제 커널. 당시에는 개인용 컴퓨터가 점점 보급되면서 운영체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특히 유닉스(UNIX)와 같은 운영체제는 비싼 가격과 소스코드의 비공개로 인해 개인 사용자들에게는 접근이 어려웠다. 리눅스 토발즈는 이러한 상황에서 개인용 컴퓨터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무료 운영체제를 개발하고자 Linux 커널을 개발하여 인터넷상에 공개했다. 이후 많은 개발자들이 Linux 커널에 참여하면서 오픈소스 커뮤니티가 형성되었고, Linux 운영체제는 현재까지도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다. Linux는 오픈소스 기반의 운영체제로서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리눅스는 엄밀히 말하면 리눅스 커널(Linux Kernel)을 의미한다. 커널은 운영체제의 핵심적인 ..

1. 슬랙웨어 리눅스(Slackware Linux) - 배포판 가운데 가장 먼저 대중화된 배포판으로 1992년 패트릭 볼커딩에 의해 출시 - 최근 패키지 관리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인기가 다소 떨어짐 - 구조가 간결하고 파악하기 쉽기 때문에 유닉스 학습에 리눅스를 사용하고 싶어 하는 사용자들에게 적합 - 개인용 컴퓨터에서의 사용이 많음 2. 데비안(Debian) - 1994년 이안머독에 의해 비영리 조직으로 데비안 프로젝트 설립 - 데비안 프로젝트에서 만들어 배포하는 공개 운영체제로 GNU의 공식적인 후원을 받고 있는 유일한 배포판 - 리눅스(Linux) 커널을 탑재한 데비안 GNU / 리눅스, GNU 허드(GNU Hurd) 커널을 탑재한 데비안 GNU / 허드, FreeBSD 커널을 탑재한 데비안 GNU..

디렉터리란 파일 저장소를 의미하며, 리눅스 디렉터리는 최상위 디렉터리(/)를 기준으로 하위 디렉터리들이 존재하는 계층적 트리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디렉터리 간에는 부모와 자식의 관계를 가지므로 상위 디렉터리와 하위 디렉터리는 부모 디렉터리와 자식 디렉터리로 구분한다. 디렉터리 구조와 저장 내용은 다음과 같다. 디렉터리 저장내용 / - 파일 시스템이 있는 최상위 디렉터리 - 모든 디렉터리의 출발점인 동시에 다른 시스템과의 연결점이 되는 디렉터리 /boot - 부트 디렉터리로 부팅 시 커널 이미지와 부팅 정보 파일 저장 /proc - 시스템 정보 디렉터리이며 커널 기능을 제어하는 역할 - 현재 실행되는 프로세스와 실제로 사용되는 장치, 하드웨어 정보 저장 - 디렉터리에서 볼 수 있는 것은 실제 드라이브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