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데이터베이스
- HTML
- 코딩테스트
- Python 라이브러리
- python algorithm
- MariaDB
- RFP
- Algorithm
- putty
- Python DataFrame
- C#
- tibero
- PYTHON
- 오라클
- 알고리즘
- 파이썬 알고리즘
- Oracle
- linux
- it용어
- 리눅스
- 리눅스 명령어
- sql
- 파이썬
- 파이썬 전처리
- Oracle VM VirtualBox
- csharp
- dbeaver
- 파이썬 데이터프레임
- VirtualBox
- it 용어
- Today
- Total
목록기타/IT 용어 (63)
오경석의 개발노트
■ 개념 두 대 이상의 컴퓨터가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통신이 가능한 상태. ■ 규모에 따른 네트워크 종류 ○ PAN(Personal Area, Network): 가장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 LAN(Local Area Network): 근거리 영역 네트워크. 근거리 통신망을 의미하며 지역적 좁은 범위 내에서 고속 통신이 가능한 통신망○ MAN(Metropolitan Area Netwrok): 대도시 영역 네트워크○ WAN(Wide Area Network): 광대역 네트워크. Wide Area Network 광대역 통신망으로 LAN보다 넓은 지역을 나타내며 지역과 지역, 지방과 지방, 나라와 나라 또는 대륙과 대륙을 연결하는 통신망

■ 개념 IP는 인터넷이나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데 사용되는 규칙 또는 프로토콜. IP는 장치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네트워크에서 각 장치(컴퓨터, 서버, 스마트폰 등)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IP 주소를 사용. 인터넷을 통과하는 데이터는 패킷이라고 하는 더 작은 조각으로 나뉜다. IP 정보는 각 패킷에 첨부되며, 이 정보는 라우터가 패킷을 올바른 위치로 보내는 데 도움이 된다. 인터넷에 연결하는 모든 장치나 도메인에는 IP 주소가 할당되며, 패킷이 연결된 IP 주소로 전달되면 데이터가 필요한 곳에 도착한다. 패킷이 목적지에 도착하면 IP와 함께 어떤 전송 프로토콜이 사용되는지에 따라 다르게 처리된다. 가장 일반적인 전송 프로토콜은 TCP와 UDP다. IP 주소는..

CLI(Command Line Interface) : 가상 터미널 또는 터미널을 통해 사용자와 컴퓨터가 상호 작용하는 방식. 즉, 작업 명령은 사용자가 컴퓨터 키보드 등을 통해 문자열의 형태로 입력하며, 컴퓨터로부터의 출력 역시 문자열의 형태로 주어진다. 가장 간단한 형태의 CLI(명령 줄 인터페이스)는 명령 프롬프트를 표시해 사용자의 명령어 입력을 기다리며, 사용자의 명령어 입력이 완료되면 해당 명령어를 실행하고 결과를 문자열 형태로 출력한다. GUI(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단추 또는 메뉴와는 달리, 명령줄은 그 자체로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을 정확히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명령줄은 다른 결과를 원할 경우 바꿔서 사용할 수 있는 기본값들을 포함하고 있다. GUI는 시스템 관리 작업에 비효율적이며 ..

GUI(Graphical User Interface) :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입출력등의 기능을 알기 쉬운 아이콘 따위의 그래픽으로 나타낸 것이다.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화면 위의 물체나 틀, 색상과 같은 그래픽 요소들을 어떠한 기능과 용도를 나타내기 위해 고안된 사용자를 위한 컴퓨터 인터페이스이다. GUI에서 어떤 요소를 제어하려면 그 요소에 해당하는 그래픽을 직접 조작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2차원의 공간에서 그 기능을 은유적 혹은 대표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픽으로 요소를 꾸미고 이를 선택, 이동, 복사하여 작동한다. 이를테면 X자와 같은 형태의 그래픽 요소는 이를 선택하면 삭제하거나 취소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어떤 파일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어느 위치에서 다른 하드 디스크의 장소를 나타..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제이슨) : 속성-값 쌍(attribute-value paris), 배열 자료형(array data types) 또는 기타 모든 시리얼화 가능한 값(serializable value) 또는 키-값 쌍으로 이루어진 데이터 오브젝트를 전달하기 위해 인간이 읽을 수 있는 텍스트를 사용하는 개방형 표준 포맷이다. 비동기 브라우저/서버 통신(AJAX)을 위해, 넓게는 XML을 대체하는 주요 데이터 포맷이다. JSON은 XML 파일 형식에 비해 명확하고 읽기 쉽고, 동일한 데이터 세트를 정의하는 문자 수가 적기 때문에 인터넷을 통한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특히 인터넷에서 자료를 주고 받을 때 그 자료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자료의 종류에 큰 ..

데이터 정합성(Data Consistency) : 어떤 데이터들이 값이 서로 일치하는 상태

트랜잭션(transaction) : 쪼갤 수 없는 업무 처리의 최소 단위. 트랜잭션은 은행 ATM이나 데이터베이스 등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업무 처리의 최소 단위이다. 예를 들어, A라는 사람이 B라는 사람에게 1,000원을 지급하고 B가 그 돈을 받은 경우, 이 거래 기록은 더 이상 작게 쪼갤 수 없는 하나의 트랜잭션을 구성한다. 만약 A는 돈을 지불했으나 B는 돈을 받지 못했다면 그 거래는 성립되지 않는다. 이처럼 A가 돈을 지불하는 행위와 B가 돈을 받는 행위는 별개로 분리될 수 없으며 하나의 거래내역으로 처리되어야 하는 단일 거래이다. 이런 거래의 최소 단위를 트랜잭션이라고 한다. 트랜잭션 처리가 정상적으로 완료된 경우 커밋(commit)을 하고, 오류가 발생할 경우 원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