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MariaDB
- RFP
- 데이터베이스
- Oracle VM VirtualBox
- 파이썬 데이터프레임
- 알고리즘
- 파이썬 알고리즘
- C#
- it 용어
- python algorithm
- sql
- Python 라이브러리
- 오라클
- Oracle
- 파이썬 전처리
- Python DataFrame
- VirtualBox
- HTML
- it용어
- 파이썬
- putty
- PYTHON
- tibero
- 리눅스
- linux
- Algorithm
- 코딩테스트
- 리눅스 명령어
- csharp
- dbeaver
- Today
- Total
오경석의 개발노트
Linux_배포판 종류 및 특징 본문
1. 슬랙웨어 리눅스(Slackware Linux)
- 배포판 가운데 가장 먼저 대중화된 배포판으로 1992년 패트릭 볼커딩에 의해 출시
- 최근 패키지 관리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인기가 다소 떨어짐
- 구조가 간결하고 파악하기 쉽기 때문에 유닉스 학습에 리눅스를 사용하고 싶어 하는 사용자들에게 적합
- 개인용 컴퓨터에서의 사용이 많음
2. 데비안(Debian)
- 1994년 이안머독에 의해 비영리 조직으로 데비안 프로젝트 설립
- 데비안 프로젝트에서 만들어 배포하는 공개 운영체제로 GNU의 공식적인 후원을 받고 있는 유일한 배포판
- 리눅스(Linux) 커널을 탑재한 데비안 GNU / 리눅스, GNU 허드(GNU Hurd) 커널을 탑재한 데비안 GNU / 허드, FreeBSD 커널을 탑재한 데비안 GNU / KFreeBSD, NetBSD 커널을 탑재한 데비안 GNU / NetBSD 등으로 나뉘며 현재 이 가운데 정식판이 존재하는 것은 데비안 GNU / 리눅스뿐이다.
- 데비안은 패키지 설치 및 업그레이드의 과정이 단순하다. 인스톨 후 패키지 매니저인 apt등을 이용하면 소프트웨어의 설치나 업데이트에서 다른 패키지와의 의존성 확인, 보안 관련 업데이트 등을 자동으로 해준다.
- 안정성과 보안성이 높고 서버나 네트워크 기기 등에서 많이 사용
3. 우분투(Ubuntu)
- 대표적인 데스크톱용 리눅스 배포판으로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
- Debian GNU / Linux에 기초한 운영체제
- 고유한 데스크탑 환경인 유니티를 사용하는 리눅스 배포판
- 영국에 기반을 둔 회사인 캐노니컬의 지원을 받고 있다
- 여섯 달마다 새 버전이 하나씩 배포, GNOME의 새 버전이 나오는 시기와 비슷
- 사용자 편의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4. 레드햇
- 미국의 레드햇사가 개발하던 리눅스 배포판
- 현재는 레드햇사가 유료로 기술지원을 하는 기업용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RHEL)와 페도라 프로젝트에서 개발하고 있는 페도라로 나뉘어 있다.
- 레드햇은 기업용 유료 리눅스 배포판인 RHEL의 개발을 지원
5. RHEL(Red Hat Enterprise Linux)
- 레드햇이 개발하여 판매하고 있는 상용 리눅스 배포판
- 18 ~ 24개월에 한 번씩 새로운 버전이 공개되며 라이선스는 미판매
- 서브 스크립션의 형태로 요금을 지불하는 방식
- 기술 지원은 버전마다 출시 시점으로부터 7년 동안 제공
- 계약기간 중에는 추가 비용 없이 업그레이드 및 다운그레이드 자유롭게 실시
- 상업용 패키지는 구입해야 하지만 소스코드는 레드햇의 FTP 사이트를 통해 공개
6. CentOS
- 업스트림 소스인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와 완벽하게 호환되는 무료 기업용 컴퓨팅 운영체제로 기업에서 많이 사용 (RHEL 소스 코드 기반으로 개발)
- 플랫폼을 제공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리눅스계 운영체제
- 자체 커뮤니티에 의해 관리
- 기본적으로 포함되는 소프트웨어와 업데이트되는 소프트웨어를 아울러 이전 파일에 대해 상위판과 100%에 최대한 가까운 호환성을 유지하는 것을 원칙
- 레드햇의 기술 지원은 받지 않는다
7. 페도라
- 리눅스 커널에 기반한 운영체제와 레드햇의 후원과 개발 공동체의 지원 아래 개발된 배포판
- 일반적인 목적을 가진 RPM 기반의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운영체제
- 6개월 간격으로 새로운 버전이 배포되며 지원기간은 각 버전마다 13개월
- 소프트웨어 개발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새 버전으로 계속 교체되어야 한다
- 최신 기술을 적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이 많이 사용
8. SUSE
- 독일에서 출시된 배포판으로 유럽에서 인기
- 풍부한 기능과 안정성, 보안 기능 포함
- 정기적인 배포판이 존재한다기 보다는 언제든지 새로운 버전이 출시로 업데이트가 가능한 롤링 릴리즈(rolling release) 방식 사용
출처 : 이기적 리눅스마스터 2급
리눅스 (linux )의 종류및 국내 에서 많이 사용하는 배포판은 ? - 미엘린클라우드 - MyelinCloud
리눅스 탄생하게 된 계기 Linux는 1991년 핀란드의 리누스 토발즈(Linus Torvalds)가 개발한 운영체제 커널입니다. 당시에는 개인용 컴퓨터가 점점 보급되면서 운영체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특히
myelincloud.com
'소프트웨어, 운영체제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_chown(change the owner of a file) (1) | 2024.01.08 |
---|---|
Linux_정의 및 특징 (0) | 2023.11.28 |
Linux_디렉터리 종류와 특징 (1) | 2023.11.21 |
Linux_.bashrc, .bash_profile의 차이 (0) | 2023.07.04 |
Linux_오프라인에서 jdk 설치 (0) | 2023.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