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python algorithm
- 알고리즘
- tibero
- HTML
- 파이썬 알고리즘
- 파이썬
- it 용어
- dbeaver
- 코딩테스트
- Algorithm
- 데이터베이스
- Oracle VM VirtualBox
- PYTHON
- 파이썬 전처리
- 파이썬 데이터프레임
- Python DataFrame
- sql
- 오라클
- MariaDB
- VirtualBox
- csharp
- 리눅스 명령어
- RFP
- putty
- C#
- Oracle
- linux
- Python 라이브러리
- it용어
- 리눅스
- Today
- Total
오경석의 개발노트
Linux_ssh로 서버 간 접속 본문
■ Secure Shell(SSH) : 네트워크 상의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하거나 원격 시스템에서 명령을 실행하고 다른 시스템으로 파일을 복사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응용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토콜을 가리킨다. 기존의 rsh, rlogin, 텔넷 등을 좀 더 보안이 강화된 명령으로 대체하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강력한 인증 방법 및 안전하지 못한 네트워크에서 안전하게 통신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기본적으로는 22번 포트를 사용한다.
SSH는 암호화 기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통신이 노출된다고 하더라도 이해할 수 없는 암호화된 문자로 보인다.
대표적으로 데이터 전송, 원격 제어에 사용된다.
■ 주요 기능
- 보안 접속을 통한 rsh, rcp, rlogin, rexec, telnet, ftp 등을 제공
- IP spoofing (IP스푸핑, 아이피 위/변조 기법 중 하나)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
- X11 패킷 포워딩 및 일반적인 TCP/IP 패킷 포워딩을 제공
■ 사용 방법
ssh 사용자명@호스트주소
ssh 사용자명@호스트주소 -p 2222 # 22가 아닌 다른 포트를 사용할 경우
exit # 접속 해제
※ ssh 명령어로 접속 후 연결을 끊을 때는 exit를 사용하자.
출처 : https://ko.wikipedia.org/wiki/%EC%8B%9C%ED%81%90%EC%96%B4_%EC%85%B8
[Linux] 리눅스 ssh 동작 방식, 설치 및 사용법
목차 1. SSH SSH 이란 Secure Shell Protocol의 약자로, FTP / Telnet에 비해 보안에 초점을 맞춘 Protocol입니다. 네트워크 상의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하거나 원격 시스템에서 명령을 실행하고 다른 시스템으
veneas.tistory.com
출처 : ChatGPT
'소프트웨어, 운영체제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_umask (1) | 2024.02.26 |
---|---|
Linux_scp 명령어로 서버 간 파일 전송 (0) | 2024.02.12 |
Linux_tree (0) | 2024.01.20 |
Linux_chgrp(change group) (1) | 2024.01.15 |
Linux_chmod(change mode) (1) | 2024.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