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HTML
- dbeaver
- Python DataFrame
- Oracle
- 파이썬 알고리즘
- C#
- 오라클
- python algorithm
- 리눅스
- RFP
- Python 라이브러리
- 코딩테스트
- MariaDB
- linux
- csharp
- sql
- 알고리즘
- tibero
- VirtualBox
- it용어
- 파이썬 전처리
- 데이터베이스
- 파이썬 데이터프레임
- Oracle VM VirtualBox
- putty
- PYTHON
- it 용어
- Algorithm
- 리눅스 명령어
- 파이썬
- Today
- Total
오경석의 개발노트
IT용어_백업(back-up) 본문
백업(back-up) : 사용자의 실수나 컴퓨터의 오류, 바이러스, 정전 등으로 원본이 손상되거나 잃어버릴 경우를 대비하여 원본을 미리 복사해 두는 것.
컴퓨터를 이용해서 작업을 할 때는 예상치 못한 재해나 사고, 사용자의 실수 등으로 인해 작성하고 있던 자료가 모두 없어지거나 손상이 일어날 수 있다. 자료가 손상되어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을 대비하기 위해서는 같은 내용의 자료를 미리 다른 장소나 매체에 저장해 복사해 둠으로써 원래 자료가 없어지더라도 큰 문제가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바로 백업이라고 한다. IT에서는 데이터 백업(data backup)이라고 하고 데이터 백업을 수행한 파일은 백업 파일이라고 한다.
또한 시스템을 재설치할 경우 자료의 손쉬운 이동을 확실히 하기 위해 백업을 진행하기도 한다. 백업은 본래 저장공간으로부터 복사하고자 하는 파일만을 선택하여 이들을 추출하여 또 다른 저장 장치로 복사하는 과정을 거친다.
평소에 이용하는 운영 체제가 들어 있는 기억 장치에 자료를 여러 군데에 복사해 두는 것도 백업이라고 할 수 있으나, 컴퓨터 기억 장치는 언젠가는 망가질 수도 있다. 같은 기억 장치에 백업을 해도, 그 기억 장치가 통째로 파손되면 복구 가능성이 낮아진다. 전문 업체에게 데이터 복구 서비스를 맡길 수도 있지만, 그 비용은 손실된 데이터를 다시 만들기 위한 비용과 큰 차이가 없는 경우도 많다. 또한 다시 만들 수가 없는 데이터는 두 번 다시 되돌릴 수 없다. 그러므로 평소에 사용하는 기억 장치와는 다른 기억 장치에 정기적으로 백업하는 것을 강력히 권한다.
축구, 야구, 하키 등과 같은 운동 종목에도 백업이라는 말을 사용하는데 여기서 백업은 어떤 선수가 실수를 하였을 경우를 대비하여 다른 선수가 대신 역할을 하는 방법을 말한다. 군사 용어에서는 팀원을 지원사격 등으로 지원하는 것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우리가 아주 중요한 숙제를 완성해 놓았을 때 usb나 클라우드 저장공간 등에 한 번 더 파일을 저장해두면 만일의 사태에 자료가 손상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백업을 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데이터 전체를 백업하는 방법과 백업이 진행된 후에 변경된 사항만 선택적으로 백업하는 방법도 있다. 전체를 백업하는 것은 자료를 최대한 온전히 남기는 방법이지만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일부분만 백업하는 방법은 백업에 걸리는 시간은 짧지만 미리 한번 전체가 백업된 적이 있어야 하고, 복구에 시간이 조금 걸릴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백업 대상은 파일, 폴더 단위로, 아니면 디스크나 파티션 단위로 정할 수 있다.
이처럼 백업은 데이터 손실을 미리 예방하는 차원에서 다른 곳에다가 자료를 저장해 놓는 것이다. 효과적인 데이터 관리와 사용자 오류 등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백업을 해놓는 것이 좋다. 백업을 계획할 때에는 저장해놓는 자료의 크기, 작업의 시기나 형태에 따라 백업 하는 계획을 잘 짜야한다.
백업 프로그램에는 피씨 백업, 노턴 백업 등이 있으며, 백업을 본래의 파일로 복구하는 것을 리스토어라고 한다. 백업과 관련한 양식으로는 백업 관리대장, 백업 내역서, 백업 목록표 등이 있다.
백업을 진행하는 이유
- 인위적인 실수
- 하드웨어 문제
- 소프트웨어 문제
- 도난
- 컴퓨터 바이러스
- 사이버 테러
- 재해(지진, 화재 등)
- 전쟁, 테러
백업 대상
- 파일·폴더 백업
- 파일, 폴더 등의 시스템 일부만 백업
- 복구 작업에 순서를 필요로 하는 것이 많다.
- 시스템 백업
- 하드 디스크에 포함된 운영 체제나 응용 소프트웨어가 있는 시스템 전체를 백업
- 복구할 때에는 시스템 전체를 복원하는 것이므로, 파일 백업과 견주어 복구 작업에 순서가 많지 않은 것이 특징
추천 백업 방법
- 파일 동기화 : 안전을 위해 중요한 데이터를 다른 위치에 보관하는 프로세스. 다른 물리적 드라이브를 사용하여 이 작업을 수행하거나 온라인 클라우드 스토리지 사용
- 운영체제 백업 : 해당 운영체제에서 지원하는 기능으로 백업 수행
3-2-1 백업 룰
- 3 : 원본을 포함한 데이터 복사본 3개를 만들되 동일한 디스크에 있어서는 안된다. 반드시 서로 다른 장소에 보관.
- 2 : 2개의 형식 즉, 두 가지 이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해야 한다.
- 1 : 화재나 침입 등의 사고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복사본 1개는 외부에 보관해야 한다.
데이터 백업과 관련된 3-2-1 백업 룰이 있다. 완벽한 백업을 위해 적어도 3개의 데이터 복사본을 만든 후, 2개의 형식으로 보관하고, 그중 1개는 외부에 보관하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외장하드나 네트워크 폴더에 한 개의 복사본만 만들어 두고선 백업을 해두었다고 안심하곤 한다. 하지만 이러한 형태의 백업은 랜섬웨어나 악성코드 감염에 노출되기 쉬우며, 화재나 침입 등의 사고에는 전혀 대비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안전하고 완벽한 백업을 위해서는 3-2-1 백업 룰을 준수해야 한다.
이미징, 파일 백업, 동기화 간의 차이점
이미징/시스템 이미징
- 컴퓨터(파일,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파일) 백업 방법의 하나로, 운영 체제와 프로그램 파일을 포함하여 컴퓨터에서 사용 가능한 전체 데이터 컬렉션을 단일 파일(이미지)에 저장한 후 나중에 컴퓨터를 정확히 이미지가 생성되었던 시점으로 복구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이 방식을 사용하면 프로그램 재설치, 이메일 및 파일 복원 등에 많은 시간을 들이지 않고도 주요 하드웨어 장애를 복구하거나 운영 체제를 다시 설치할 수 있다.
파일 백업
- 이 백업 방식은 다른 위치에 추가 복사본을 생성해 일반 데이터를 백업하지만, 애플리케이션과 다른 시스템 파일은 백업하지 않는다. 백업되는 파일은 원본 위치에서 삭제되지 않는다.
데이터 백업은 일반적으로 수동 복사보다 더 효율적이고 백업 스토리지 미디어의 공간을 덜 차지하는데, 그 이유는 전체 백업이 아닌 점진적 백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데이터의 여러 버전을 자주 백업하기가 더욱 쉽고 비용 효율적이다. 일부 백업 소프트웨어는 데이터를 단일 파일로 자동 복사할 수 있다. 이 단일 파일은 나중에 원래 백업 애플리케이션에서 읽거나 복원할 수 있으며, 또는 Windows 탐색기/파일 탐색기, (내) 컴퓨터/이 PC, Finder를 통해 탐색한 후 파일을 개별적으로 복원할 수도 있다. 특정 소프트웨어는 이러한 백업 파일을 압축해 스토리지 공간을 절약하고, 비밀번호와 암호화를 통해 백업 파일을 보호해 무단 액세스를 방지할 수 있다.
아카이빙
- 이 백업 프로세스를 이용하면 보조 복사본을 만들지 않고 파일을 단일 스토리지 미디어에 저장해 추가 공간을 최대한 많이 확보할 수 있다. 이 방식은 하나의 데이터 복사본만 생성하므로 진정한 의미에서 백업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보관된 데이터를 보조 위치나 보조 아카이브에 복사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 방식을 권장하지 않는다.
아카이브와 백업의 주요한 차이점은, 백업에서는 파일이 원본 드라이브와 보조 드라이브에 모두 보관되는 반면, 보관된 파일은 보통 시스템 디스크나 데이터 드라이브와 같은 원본 드라이브로부터 삭제된다는 점이다. 데이터를 보관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DVD, 블루레이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를 스토리지 미디어로 사용한다. 이는 오랫동안 액세스 할 필요가 없는 대용량 데이터를 비용 효과적인 방식으로 저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동기화
- 동기화는 일반적으로 데이터만 백업한다는 점에서 파일 백업과 유사하지만, 애플리케이션이나 시스템 파일은 백업하지 않는다. 동기화 작업의 주목적은 원본(보통 컴퓨터)과 대상(보통 외장형 드라이브)을 항상 동기화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다. 기존 백업과 동기화 간에는 기능상의 차이점이 있으며, 동기화를 사용할 때는 그런 차이점에 유의해야 한다.
동기화 형태에 따라 크게 양방향 동기화와 단방향 동기화로 구분할 수 있다.
양방향 동기화를 사용하면 한 위치에서 변경된 내용이 다른 위치의 동기화된 파일에 적용된다. 여기에는 파일 삭제도 포함된다. 원본 위치의 파일을 수정하거나 삭제하면 대상 위치의 파일도 수정되거나 삭제된다. 마찬가지로 대상 위치의 파일을 수정하거나 삭제하면 원본 위치의 파일도 수정되거나 삭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원본 위치와 대상 위치의 파일이 동기화 작업이 실행되는 동안 서로 같은 상태를 유지한다.
단방향 동기화를 사용하면 원본 위치에서 변경된 내용만 대상 위치에 적용되며, 양방향 동기화와 달리 대상 위치에서 변경된 내용은 원본 위치에 적용되지 않고 다음번에 동기화 작업을 실행할 때 실행 취소될 수 있다. 일부 동기화 소프트웨어는 이전에 변경하거나 삭제한 파일의 아카이브 또는 버전을 보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양방향 동기화와 단방향 동기화 중 어느 방식을 사용하는지에 따라 기능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소프트웨어의 작동 방식을 알아두어야 한다.
출처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607496&cid=58598&categoryId=59316
백업
사용자의 실수나 컴퓨터의 오류, 바이러스, 정전 등으로 원본이 손상되거나 잃어버릴 경우를 대비하여 원본을 미리 복사해 두는 것. 컴퓨터를 이용해서 작업을 할 때는 예상치 못한 재해나 사고
terms.naver.com
출처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607927&cid=42279&categoryId=42279
백업
백업이란 데이터의 보전이나 사고에 대비하여 미리 자료를 복사하는 것이다. 백업이란 원본이 손상되거나 잃어버릴 경우를 대비하여 원본 자료를 미리 복사하는 과정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데
terms.naver.com
출처 : https://ko.wikipedia.org/wiki/%EB%B0%B1%EC%97%85
백업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백업 파일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파일 포맷에 대해서는 백업 파일 포맷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백업(영어: backup, 문화어: 후보)은 임시 보관을 일컫는 말로, 정보
ko.wikipedia.org
출처 : https://namu.wiki/w/%EB%B0%B1%EC%97%85
백업 - 나무위키
아래는 초보자가 저지르기 쉬운 잘못된 백업 관리방법의 예시들이다. 거의 다 위의 3개-2종류-1개 다른 곳의 원칙을 안 지키는 예시이다. 원본 데이터와 백업 데이터를 같은 저장소에 해놓는 경
namu.wiki
출처 : https://www.seagate.com/kr/ko/support/kb/what-is-a-backup/
백업이란? | Seagate 지원 대한민국
www.seagate.com
출처 : https://www.secudrive.co.kr/2018/11/12/3-2-1-rule/
안전하고 완벽한 백업을 위한 3-2-1 백업 룰 - Secudrive
데이터 백업과 관련한 3-2-1 백업 룰이 있습니다. 완벽한 백업을 위해 적어도 3개의 데이터 복사본을 만든 후, 2개의 형식으로 보관하고, 그 중 1개는 오프사이트에 보관하는 것입니다. * 3-2-1 백업
www.secudrive.co.kr
참고자료(윈도우 백업, 공식 홈페이지) : https://support.microsoft.com/ko-kr/windows/windows%EC%97%90%EC%84%9C-%EB%B0%B1%EC%97%85-%EB%B0%8F-%EB%B3%B5%EC%9B%90-352091d2-bb9d-3ea3-ed18-52ef2b88cbef#WindowsVersion=Windows_10
Windows에서 백업 및 복원
Windows 11 백업 및 복원 또는 파일 기록으로 만든 백업에서 파일을 복원할 수 있습니다. 파일 기록을 사용하여 파일 복원 백업 파일이 포함된 외부 스토리지 디바이스를 연결합니다. 작업 표시줄
support.microsoft.com
윈도우10 백업하는 방법 4가지 와 복원 까지 정리 - insideBOX
컴퓨터를 사용하다보면, 원치 않는 상황들이 종종 발생합니다. 이 것과 관련 하여 몇가지 글을 정리 해 보았는데 정작 전체 백업 과 관련 된 내용을 정리 하지 않아 정리 해보려 합니다. 어제도
comeinsidebox.com
참고자료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https://www.nia.or.kr/files/ko/nia2009/download/%EC%A0%95%EB%B3%B4%EC%8B%9C%EC%8A%A4%ED%85%9C%20%EB%B0%B1%EC%97%85%EC%A7%80%EC%B9%A8.PDF
'기타 > IT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용어_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1) | 2022.11.01 |
---|---|
IT 용어_덕 타이핑(duck typing) (0) | 2022.10.25 |
IT 용어_SSH(Secure Shell) (0) | 2022.08.26 |
모듈(Module) (0) | 2022.08.17 |
IT 용어_enumerate (0) | 2022.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