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Oracle VM VirtualBox
- Oracle
- VirtualBox
- 파이썬 알고리즘
- 파이썬 데이터프레임
- PYTHON
- Python DataFrame
- 파이썬
- dbeaver
- csharp
- it 용어
- 코딩테스트
- linux
- RFP
- Python 라이브러리
- sql
- python algorithm
- 오라클
- 리눅스 명령어
- C#
- 알고리즘
- HTML
- MariaDB
- it용어
- tibero
- 데이터베이스
- 리눅스
- Algorithm
- putty
- 파이썬 전처리
- Today
- Total
목록기타/IT 용어 (63)
오경석의 개발노트

호스트명(hostname)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컴퓨터, 파일 서버, 복사기, 케이블 모뎀 등) 들에게 부여되는 고유한 이름이다. 특히 인터넷에서는 월드 와이드 웹, 전자 우편, 유즈넷 등에서 호스트명을 흔히 사용하며, 도메인 이름과 유사하지만 엄밀하게는 더 넓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호스트명은 보통 사람이 읽고 이해할 수 있는 이름으로 지어지며, 흔히 IP 주소나 MAC 주소와 같은 기계적인 이름은 사람이 일일이 기억하기 힘들어서 쉬운 이름을 부여하여 대신 쓸 수 있다. 호스트명은 NIS, DNS, SMB 등의 여러 체계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네트워크에 따라서 같은 컴퓨터에 배당된 호스트명이 달라질 수 있다. 인터넷의 경우 호스트명은 "."으로 구분되는 DNS(Domain Name System)을 사..

레드햇(Red Hat)은 1993년에 창립된 리눅스 배포판 제작회사로, 레드햇 리눅스를 제작했다. 레드햇은 오픈 소스를 비즈니스로 전개하면서 소프트웨어를 무료로 공급하고 지원을 유료로 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기본으로 하였지만, 최근에는 고도화된 소프트웨어를 유료로 판매하는 비즈니스도 시작하고 있다. 리눅스가 등장하고 초기에는 일반적인 사용자가 사용하기 쉽게 리눅스 커널을 중심으로 GNU 프로젝트, BSD, X11 등의 소프트웨어를 조합하여 공급하는 형태로 리눅스 초기의 확산에 많은 공헌을 해왔다. 레드햇의 리눅스 배포판(이후, 레드햇 리눅스)은 GPL 소프트웨어를 중심으로 구성하여 자체 제작 소프트웨어도 GPL로 공개되고 있기 때문에, 레드햇 리눅스를 기반으로 하는 타 기업의 배포판도 많이 존재한다. (예..

셸(shell, 자령해석프로그램)은 운영 체제 상에서 다양한 운영 체제 기능과 서비스를 구현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셸(껍질, 껍데기의 영어 단어)은 사용자와 운영 체제의 내부(커널)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감싸는 층이기 때문에 그러한 이름이 붙었다. 셸은 일반적으로 명령 줄과 그래픽 형의 두 종류로 분류된다. 명령 줄 셸은 운영 체제 상에서 명령 줄 인터페이스(CLI)를 제공하는 반면에, 그래픽 셸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한다. CLI와 GUI 기반 셸의 상대적 장점에 대해서는 논쟁이 많다. CLI 지지자는 CLI 셸 상에서 일반적인 수행(파일 이동 등)을 훨씬 빠르게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반대로 GUI 지지자는 GUI 셸의 상대적 사용성과 간편함을 내세운다. 일반적으로 ..

■ 프롬프트(prompt, 명사, 사용자의 명령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었음을 모니터에 나타내는 표시) : 컴퓨터 터미널 또는 터미널 에뮬레이터의 CLI(Command Line Interface)의 명령줄 대기모드를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커맨드 프롬프트(command prompt) 또는 셸 프롬프트(shell prompt) 라인은 아래의 형식을 같는다. user@hostname pwd $ 프롬프트는 역사적으로 유닉스계열에서처럼 네트워크 환경 및 다중 사용자를 고려해 로그인, 호스트, 사용 중인 디바이스(장치 파일) 리소스, 루트(root, 슈퍼유저 superuser) 아닌 일반 사용자 등을 표시하는 본연의 기능과 컴퓨터와 사용자간의 질의응답을 대기하는 인터페이스의 커서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어 이러..

개요 MD5(message digest 5)는 입력 데이터로부터 128 비트(bit) 메시지 축약을 만듦으로써 데이터 무결성을 검증하는데 사용되는 해시 알고리즘이다. 1991년 미국 MIT의 교수 로날드 리베스트(Ronald Rivest)가 이전 버전인 MD4의 결함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했다. 현재는 주로 프로그램이나 파일이 원본 그대로인지 확인하는 무결성 검사 등에 사용된다. MD5는 전자서명, 응용 프로그램 등 정보보호를 목적으로 개발한 해시 알고리즘이다. 프로그램이 위변조 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무결성 검사에 사용된다. 입력받은 메시지를 128비트로 압축하는 방식이며, 이전 버전으로는 MD2, MD4가 있다. 1996년 보안상 결함이 발견되어 보안용으로 사용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는다. 큰 파일들은 RS..

개요 SHA-256은 SHA(Secure Hash Algorithm) 알고리즘의 한 종류로서 256비트로 구성되며 64자리 문자열을 반환한다. SHA-256은 미국의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에 의해 공표된 표준 해시 알고리즘은 SHA-2 계열 중 하나이며 블록체인에서 가장 많이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름에 내포되어 있듯 \(2^{256}\)만큼 경우의 수를 만들 수 있다. 개인용 컴퓨터로 무차별 대입을 수행해 해시 충돌 사례를 찾으려고 할 때 많은 시간이 소요될 정도로 큰 숫자이므로 비교적 안전하다고 평가된다. SHA-256 해시 함수는 어떤 길이의 값을 입력하더라도 256비트의 고정된 결과값을 출력한다. 일반적..

REST API 개념 REST API(RESTful API라고도 함,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I)는 REST 아키텍처 스타일의 제약 조건을 준수하고 RESTful 웹 서비스와의 상호 작용을 허용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다. 두 컴퓨터 시스템이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안전하게 교환하기 위해 사용한다. 2000년도에 로이 필딩(Roy Fielding)의 박사학위 논문에서 최초로 소개되었다. 로이 필딩은 HTTP의 주요 저자 중 한 사람으로 그 당시 웹(HTTP) 설계의 우수성에 비해 제대로 사용되지 못하는 모습에 안타까워하며 웹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아키텍처로써 REST를 발표했다. REST는 기본적으로 웹의 기존 기술과 HTTP 프로토콜을 그대로 ..

API 개념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컴퓨터나 컴퓨터 프로그램 사이의 연결이다. 정의 및 프로토콜 집합을 사용하여 두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가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하는 메커니즘이다. 이러한 연결이나 인터페이스를 빌드하거나 사용하는 방법을 기술하는 문서나 표준은 API 사양으로 부른다. 이 표준을 충족하는 컴퓨터 시스템은 API가 구현(implement)되었다거나 노출(expose)되었다고 말한다. API라는 용어는 사양이나 구현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상청의 소프트웨어 시스템에는 일일 기상 데이터가 들어 있다. 휴대폰의 날씨 앱은 API를 통해 이 시스템과 '대화'하여 휴대폰에 매일 최신 날씨 정보를 표시한다. 컴퓨터와 인간을 연결하는 사용자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