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파이썬
- tibero
- 알고리즘
- RFP
- 파이썬 알고리즘
- sql
- Oracle VM VirtualBox
- 데이터베이스
- C#
- Python DataFrame
- PYTHON
- csharp
- 파이썬 전처리
- 파이썬 데이터프레임
- HTML
- MariaDB
- putty
- it용어
- it 용어
- 리눅스
- python algorithm
- linux
- Oracle
- 코딩테스트
- 오라클
- VirtualBox
- 리눅스 명령어
- Python 라이브러리
- dbeaver
- Algorithm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236)
오경석의 개발노트

속성(Attribute) : 사물의 성질, 특징. 실체의 본질적인 성질. 그것이 없다면 실체를 생각할 수 없는 것. 본질적 속성이란 어떤 사물 또는 개념에 없어서는 안 될 징표의 전부이다. 이 징표란 사물이 어떠한 것인가를 나타내고, 그것을 다른 것과 구별하는 성질을 말한다. 컴퓨팅 분야에서 속성이란 객체, 요소, 또는 파일의 성질이다. 속성은 또한 이들의 인스턴스(instance)에 주어진 특정 값을 지정하거나 나타내는 데에도 쓰인다. 실제 사용될 때 속성이란 용어는 논의되는 기술에 따라 성질(property)과 동일하게 간주되기도 한다. 속성값(VALUE)은 각각의 엔터티가 가지는 속성들의 구체적인 내용이라 할 수 있다. 엔터티 내에 있는 하나의 인스턴스는 각각의 속성들의 대해 한 개의 속성값만을 가..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는 웹 페이지 표시를 위해 개발된 지배적인 마크업 언어다. 또한, HTML은 제목, 단락, 목록 등과 같은 본문을 위한 구조적 의미를 나타내는 것뿐만 아니라 링크, 인용과 그 밖의 항목으로 구조적 문서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미지와 객체를 내장하여 대화형 양식을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HTML은 웹 페이지 콘텐츠안의 꺾쇠 괄호에 둘러싸인 "태그"로 되어있는 HTML 요소 형태로 작성한다. HTML은 웹 브라우저와 같은 HTML 처리 장치의 행동에 영향을 주는 자바스크립트, 본문과 그 밖의 항목의 외관과 배치를 정의하는 CSS 같은 스크립트를 포함하거나 불러올 수 있다. HTML과 CSS 표준의 공동 책임자인 W3C는 명확..

1. Oracle VM VirtualBox에서 리눅스 서버 2개 생성 - 시스템 기본 메모리 및 디스크 파일 크기 동일하게 생성 2. 공유디스크 생성 - 서버는 전원을 끈 상태에서 작업 - 크기는 반드시 동적 할당이 아닌 고정 크기로 진행 - 만들어진 공유디스크는 상태를 변경하려면 가상서버와 연결 삭제 이후 첫번째 서버와 같이 유저 생성 및 파라미터 확인 후 기동 수고하셨습니다.

revision(리비전) : 개정 프로세스를 뜻하며, 특히 다음을 의미한다. - update(업데이트) : 소프트웨어나 데이터베이스의 수정 - revision control(리비전 제어) : 컴퓨터 파일 집합의 변경사항의 관리 출처 : https://ko.wikipedia.org/wiki/%EB%A6%AC%EB%B9%84%EC%A0%84 리비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ko.wikipedia.org

컴퓨터의 저장 단위 비트(Bit) : 0 또는 1 바이트(Byte) : 8 bit 킬로바이트(Kilobyte) : 1,000 Byte 메가바이트(Megabyte) : 1,000 KB 기가바이트(Gigabyte) : 1,000 MB 테라바이트(Terabyte) : 1,000 GB 페타바이트(Petabyte) : 1,000 TB 엑사바이트(Exabyte) : 1,000 PB 제타바이트(Zettabyte) : 1,000 EB 요타바이트(Yottabyte) : 1,000 ZB 론나바이트(Ronnabyte) : 1,000 YB 퀘타바이트(Quettabyte) : 1,000 RB 비트(Bit, Binary Digit) : 정보라고 취급할 수 있는 가공된 데이터(자료)들을 나타내는 최하위 단위이며, 컴퓨터 용량이나 ..

bash는 다섯 개의 공통된 설정 파일들을 가지고 있다. 모든 리눅스 배포본에서 이들을 찾아볼 수 있지는 않지만, 이 파일들을 만드는 것은 어렵지 않다. 이 설정 파일들은 다음과 같다(bash는 5개의 설정 파일을 갖는다). /etc/profile /etc/bashrc ~/.bash_profile ~/.bashrc ~/.bash_logout 일반적으로 전역적인 파일은 /etc 디렉터리에 위치한다. 지역적인 파일은 사용자 개개인을 위한 설정 내용을 담고 있어서 그 파일을 사용하는 특정 사용자에게만 영향을 끼치는 파일들을 뜻한다. 이들은 대개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에서 찾아 볼 수 있는 숨김 파일이다. 숨김 파일은 ~/.bashrc와 같이 '.'으로 시작한다. 수행 순서는 /etc/profile → /etc/..

환경 변수(environment variable)는 프로세스가 컴퓨터에서 동작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동적인 값들의 모임이다. 변수들은 명령 줄 위에서, .BAT 확장자를 가지는 일괄 처리 파일, 또는 스크립트 안에서 쓰일 수 있다. 변수 이름 주변이나 앞에 있는 특별한 기호를 놓아서 참조하는 것이 보통이다. 도스 또는 윈도 시스템에서 프로그램을 찾는 기본 경로를 보여 주려면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사용하고 많은 유닉스 셸에서는 흔히 달러 사인이 쓰인다. echo %PATH% echo $PATH 도스와 윈도에서 SET 명령어를 변수 없이 사용하면 모든 환경 변수와 그에 따른 모든 값을 보여준다. 특정한 값에 변수를 설정하려면 '변수=값'을 추가한다. SET SET 변수=값 유닉스, 리눅스에서 env,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