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2 | 3 | 4 | |||
| 5 | 6 | 7 | 8 | 9 | 10 | 11 |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 26 | 27 | 28 | 29 | 30 | 31 |
- 리눅스
- Python 라이브러리
- PYTHON
- VirtualBox
- HTML
- 파이썬 알고리즘
- RFP
- sql
- csharp
- dbeaver
- 파이썬 데이터프레임
- C#
- 코딩테스트
- 오라클
- tibero
- 알고리즘
- Oracle VM VirtualBox
- 파이썬
- it 용어
- Oracle
- 리눅스 명령어
- MariaDB
- putty
- 파이썬 전처리
- linux
- it용어
- Python DataFrame
- 데이터베이스
- Algorithm
- python algorithm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239)
오경석의 개발노트
■ chmod(change mode) : 파일들이나 디렉터리의 파일 시스템 모드들을 바꾸는 셸 명령어. ■ 사용법chmod [options] mode[,mode] file [file2 ...]■ 구조현재 어떤 허가들이 있는지 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입력ls -l file1. 디렉터리(d) or 파일(-)의 여부 2. owner(소유자) 권한3. group(그룹) 권한4. other(다른 사용자) 권한5. owner(소유자) 이름6. group(그룹) 이름■ 옵션 ● -R : 재귀적으로 파일들과 디렉터리들의 모드들을 바꾼다. ※ -R 이외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아 생략 1. Symbolic method - 문자열 모드파일들이나 디렉터리들의 모드를 조절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은 기호적인 모드를 지정하는 것이..
■ chown(change the owner of a file) : 리눅스 및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에서 사용되는 명령어로, 파일 및 디렉터리의 소유권을 변경하는 데 사용된다. "chown"은 "소유자 변경"을 나타낸다. 이 명령어는 일반적으로 시스템 관리자나 적절한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 의해 파일 또는 디렉터리의 소유권을 수정하는 데 사용된다. 그들이 소유하고 있는 파일의 그룹을 바꾸고 싶어 하는 권한이 없는 일반적인 사용자들은 chgrp을 사용해야 한다. ■ chown 명령어의 기본 구문chown [-R] [user]:[group] target1 [target2..] # 콜론(:) or 닷(.) ● 'user' : 소유권을 변경하려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 ID ● 'group' : 소유권을..
-- Oracle, MySQL SELECT USER_ID, PRODUCT_ID FROM ONLINE_SALE GROUP BY USER_ID, PRODUCT_ID HAVING COUNT(PRODUCT_ID) > 1 ORDER BY USER_ID, PRODUCT_ID DESC; 코드리뷰 1. USER_ID, PRODUCT_ID를 GROUP BY 하여 동일한 상품을 재구매한 데이터 찾기 2. GROUP BY의 조건절인 HAVING절을 사용하여 결과가 2건 이상인 데이터 조회 출처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31536?language=oracle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
-- Oracle SELECT PT_NAME, PT_NO, GEND_CD, AGE, NVL(TLNO, 'NONE') AS TLNO FROM PATIENT WHERE GEND_CD = 'W' AND AGE
Linux : 1991년 핀란드의 리누스 토발즈가 개발한 운영체제 커널. 당시에는 개인용 컴퓨터가 점점 보급되면서 운영체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특히 유닉스(UNIX)와 같은 운영체제는 비싼 가격과 소스코드의 비공개로 인해 개인 사용자들에게는 접근이 어려웠다. 리눅스 토발즈는 이러한 상황에서 개인용 컴퓨터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무료 운영체제를 개발하고자 Linux 커널을 개발하여 인터넷상에 공개했다. 이후 많은 개발자들이 Linux 커널에 참여하면서 오픈소스 커뮤니티가 형성되었고, Linux 운영체제는 현재까지도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다. Linux는 오픈소스 기반의 운영체제로서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리눅스는 엄밀히 말하면 리눅스 커널(Linux Kernel)을 의미한다. 커널은 운영체제의 핵심적인 ..
CLI(Command Line Interface) : 가상 터미널 또는 터미널을 통해 사용자와 컴퓨터가 상호 작용하는 방식. 즉, 작업 명령은 사용자가 컴퓨터 키보드 등을 통해 문자열의 형태로 입력하며, 컴퓨터로부터의 출력 역시 문자열의 형태로 주어진다. 가장 간단한 형태의 CLI(명령 줄 인터페이스)는 명령 프롬프트를 표시해 사용자의 명령어 입력을 기다리며, 사용자의 명령어 입력이 완료되면 해당 명령어를 실행하고 결과를 문자열 형태로 출력한다. GUI(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단추 또는 메뉴와는 달리, 명령줄은 그 자체로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을 정확히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명령줄은 다른 결과를 원할 경우 바꿔서 사용할 수 있는 기본값들을 포함하고 있다. GUI는 시스템 관리 작업에 비효율적이며 ..
GUI(Graphical User Interface) :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입출력등의 기능을 알기 쉬운 아이콘 따위의 그래픽으로 나타낸 것이다.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화면 위의 물체나 틀, 색상과 같은 그래픽 요소들을 어떠한 기능과 용도를 나타내기 위해 고안된 사용자를 위한 컴퓨터 인터페이스이다. GUI에서 어떤 요소를 제어하려면 그 요소에 해당하는 그래픽을 직접 조작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2차원의 공간에서 그 기능을 은유적 혹은 대표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픽으로 요소를 꾸미고 이를 선택, 이동, 복사하여 작동한다. 이를테면 X자와 같은 형태의 그래픽 요소는 이를 선택하면 삭제하거나 취소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어떤 파일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어느 위치에서 다른 하드 디스크의 장소를 나타..
1. 슬랙웨어 리눅스(Slackware Linux) - 배포판 가운데 가장 먼저 대중화된 배포판으로 1992년 패트릭 볼커딩에 의해 출시 - 최근 패키지 관리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인기가 다소 떨어짐 - 구조가 간결하고 파악하기 쉽기 때문에 유닉스 학습에 리눅스를 사용하고 싶어 하는 사용자들에게 적합 - 개인용 컴퓨터에서의 사용이 많음 2. 데비안(Debian) - 1994년 이안머독에 의해 비영리 조직으로 데비안 프로젝트 설립 - 데비안 프로젝트에서 만들어 배포하는 공개 운영체제로 GNU의 공식적인 후원을 받고 있는 유일한 배포판 - 리눅스(Linux) 커널을 탑재한 데비안 GNU / 리눅스, GNU 허드(GNU Hurd) 커널을 탑재한 데비안 GNU / 허드, FreeBSD 커널을 탑재한 데비안 G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