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코딩테스트
- Oracle
- MariaDB
- 파이썬 전처리
- sql
- 파이썬 알고리즘
- tibero
- putty
- Oracle VM VirtualBox
- RFP
- dbeaver
- 데이터베이스
- 리눅스 명령어
- VirtualBox
- Python 라이브러리
- 파이썬
- 알고리즘
- 파이썬 데이터프레임
- 오라클
- it 용어
- linux
- Algorithm
- HTML
- 리눅스
- Python DataFrame
- python algorithm
- csharp
- PYTHON
- it용어
- C#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236)
오경석의 개발노트

GET과 POST는 HTTP 메서드로 서버가 요청을 수행하기 위해 해야 할 행동을 표시한다. 여기서 HTTP는 웹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요청, 응답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이다. ● GET - GET 메소드는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어떠한 리소스의 정보를 요청할 때 사용 - 어떤 값이나 내용, 상태 등은 바꾸지 않고 읽거나 검색할때만 사용(데이터 변형의 위험이 없음) - 쿼리스트링을 포함한 URL : www.example.com/resources?name1= value1&name2=value2 ● POST - POST 메서드는 리소스를 생성/업데이트하기 위해 서버에 데이터를 보내는 데 사용 - 보안적인 부분에서 GET보다 안전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크롬의 개발자도구나 fiddl..

Query String(쿼리스트링) : 사용자가 입력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법 중의 하나로, url 주소에 미리 협의된 데이터를 파라미터를 통해 넘기는 것을 말한다. ex) http://host:port/path?querystring query parameters(물음표 뒤에 = 로 연결된 key value pair 부분)을 url 뒤에 덧붙여서 추가적인 정보를 서버 측에 전달하는 것이다. 클라이언트가 어떤 특정 리소스에 접근하고 싶어 하는지 정보를 담는다. ● 형식 - 정해진 엔드포인트 주소 이후에 ?를 쓰는 것으로 쿼리스트링이 시작함 - parameter=value로 필요한 파라미터 값을 적는다 - 파라미터가 여러 개일 경우 &를 붙여 여러 개의 파라미터를 넘길 수 있다. - '='로 key와 valu..

하이퍼텍스트(Hypertext) : 참조(하이퍼링크)를 통해 독자가 한 문서에서 다른 문서로 즉시 접근할 수 있는 텍스트이다. 하이퍼링크(Hyperlink) : 하이퍼텍스트 문서 안에서 직접 모든 형식의 자료를 연결하고 가리킬 수 있는 참조 고리이다. 이를테면 동영상, 음악, 사진, 프로그램, 파일, 글 등의 특정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이는 하이퍼텍스트의 핵심 개념이며, HTML을 비롯한 마크업 언어에서 구현하고 있다. 이 용어는 단순히 링크(link, 고리)라고 줄여 말하기도 한다. 한마디로 누르면 웹 사이트나 프로그램 등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WWW, W3)은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를 통해 사람들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전 세계적인 정보 공간을 말한다. 간단히 웹(the Web)이라 부르는 경우가 많다. 출처 : https://ko.wikipedia.org/wiki/%EC%9B%94%EB%93%9C_%EC%99%80%EC%9D%B4%EB%93%9C_%EC%9B%B9 월드 와이드 웹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o.wikipedia.org

트래픽(traffic)이란 서버와 스위치 등 네트워크 장치에서 일정 시간 내에 흐르는 데이터의 양을 말한다. 웹사이트에 트래픽이 많다는 것은 사용자 접속이 많아서 전송하는 데이터의 양이 많다는 것을 뜻한다. 트래픽이 너무 많으면 서버에 과부하가 걸려서 기능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교통이나 운수 분야에서 사용하는 교통량(traffic)이라는 용어와 구별하기 위해 웹 트래픽(web traffic) 또는 네트워크 트래픽(network traffic)이라고도 한다. 트래픽의 예시를 홈페이지로 들어보자면, 홈페이지를 인터넷 브라우저에 띄우기 위해서는 서버에 파일을 올려놓고 사용자가 웹페이지에 접속할 때마다 필요한 정보를 다운로드해야 하는데, 여기서 다운로드되는 정보의 양이 바로 트래픽이다.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

네트워크 스위치(network switch) : 네트워크 회선과 서버컴퓨터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장비. L2, L3, L4, L7 등이 있다. 출처 : http://wiki.hash.kr/index.php/%EB%84%A4%ED%8A%B8%EC%9B%8C%ED%81%AC_%EC%8A%A4%EC%9C%84%EC%B9%98 네트워크 스위치 - 해시넷 네트워크 스위치(network switch)는 네트워크 회선과 서버컴퓨터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장비를 말한다. 간략히 스위치라고 한다. 이더넷 스위치(ethernet switch)라고도 한다. L2, L3, L4, L7 스위치 등이 있 wiki.hash.kr

패킷(packet, 소포)은 정보 기술에서 패킷 방식의 컴퓨터 네트워크가 전달하는 데이터의 형식화된 블록이다. 패킷은 제어 정보와 사용자 데이터로 이루어지며, 이는 페이로드라고도 한다. 패킷을 지원하지 않는 컴퓨터 통신 연결은 단순히 바이트, 문자열, 비트를 독립적으로 연속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데이터가 패킷으로 형식이 바뀔 때, 네트워크는 장문 메시지를 더 효과적이고 신뢰성 있게 보낼 수 있다. 출처 : https://ko.wikipedia.org/wiki/%EB%84%A4%ED%8A%B8%EC%9B%8C%ED%81%AC_%ED%8C%A8%ED%82%B7 네트워크 패킷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o.wikipedia.org

라우터(router 혹은 라우팅 기능을 갖는 공유기) : 컴퓨터 네트워크 간에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네트워크 장치.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여, 그 위치에 대한 최적의 경로를 지정하며, 이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로 전달한다. 이때 최적의 경로는 일반적으로는 가장 빠르게 통신이 가능한 경로이므로, 일반적으로는 최단 거리일 수 있지만, 돌아가는 경우라도 고속의 전송로를 통하여 전달이 될 수도 있다. 간단히 말해,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에 중계 역할을 해주는 장치. 출처 : https://ko.wikipedia.org/wiki/%EB%9D%BC%EC%9A%B0%ED%84%B0 라우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o.wikipedia.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