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it용어
- PYTHON
- 파이썬
- sql
- putty
- C#
- 파이썬 데이터프레임
- 파이썬 알고리즘
- 알고리즘
- 데이터베이스
- csharp
- dbeaver
- 리눅스 명령어
- 오라클
- 코딩테스트
- 리눅스
- RFP
- tibero
- VirtualBox
- 파이썬 전처리
- Algorithm
- MariaDB
- python algorithm
- Oracle VM VirtualBox
- linux
- Python DataFrame
- Python 라이브러리
- HTML
- it 용어
- Oracle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236)
오경석의 개발노트

게이트웨이(gateway, 망관문) :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서로 다른 통신망,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컴퓨터나 소프트웨어를 두루 일컫는 용어. 즉 다른 네트워크로 들어가는 입구 역할을 하는 네트워크 포인트. 넓은 의미로는 종류가 다른 네트워크 간의 통로의 역할을 하는 장치. 게이트웨이를 지날 때마다 트래픽(traffic)도 증가하기 때문에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 게이트웨이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상의 통신 프로토콜을 적절히 변환해주는 역할을 한다. 게이트웨이는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한다는 면에서 라우터, 스위치와는 구별되며 OSI 7 계층 가운데 어느 곳에서도 동작이 가능하므로 전송방식이 다른 통신망도 흡수함으로써 서로 다른 기종끼리도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캐시(cache)는 컴퓨터 과학에서 데이터나 값을 미리 복사해 놓는 임시 장소를 가리킨다. 캐시는 캐시의 접근 시간에 비해 원래 데이터를 접근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경우나 값을 다시 계산하는 시간을 절약하고 싶은 경우에 사용한다. 캐시에 데이터를 미리 복사해 놓으면 계산이나 접근 시간 없이 더 빠른 속도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캐시는 시스템의 효율성을 위해 여러 분야에서 두루 쓰이고 있다. ● CPU 캐시 - 대용량의 메인 메모리 접근을 빠르게 하기 위해 CPU 칩 내부나 바로 옆에 탑재하는 작은 메모리. 1980년대 이후 대부분의 CPU는 하나, 많게는 5-6개까지의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CPU 캐시를 장착하고 있다. 메모리 접근 속도가 늘어나는 것에 비해 CPU의 처리 속도가 훨씬 빠르게 늘..

멱등성(idempotent) : 멱등성 또는 멱등법칙은 수학이나 전산학에서 연산의 한 성질을 나타내는 것으로, 연산을 여러 번 적용하더라도 결과가 달라지지 않는 성질을 의미한다. 멱등법칙의 개념은 추상대수학과 함수형 프로그래밍(참조투명성 성질과 관련된)의 여러 부분에서 사용하고 있다.

직책(職責) : 직무상의 책임. 타인을 지휘할 수 있는 구체적 권한과 책임을 동반하여 보직(발령)이 부여된 상태를 의미한다. 조직도상 표시되며, 조직 관리책임을 지게된다. 파트장, 팀장, 실장, 본부장, 사업부장, CEO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일반적으로 직책의 변경은 '이동'이라고 한다. 삼성의 경우 '위촉업무변경'이라고 한다. 직급(職級) : 직무의 종류와 경력, 책임의 정도에 따라 구분한 공무원의 계급. 직책과 달리 구체적인 지휘권한은 없다. 호봉이나 년차라고도 부른다. 너무 복잡하기 때문에 직급과 직위를 나누지 않는 경우도 많다. 직위(職位) : 관직과 관위. 직무에 따라 규정되는 사회적 행정적 위치이며, 가장 직접적인 서열이다. 민간기업에선 '사원-주임-대리-과장-차장-부장-이사-상무-전무-부사..

2019년 행정안전부가 주최한 공공데이터 활용 빅데이터 분석 공모전에서 전국 2등(최우수상) 주제는 '싱크홀 예측 프로그램' 당시 1등은 '장애인 택시 수요 조사'

HTTP 응답 상태 코드는 특정 HTTP 요청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는지 알려준다. 응답은 5개로 나누어진다. 정보를 제공하는 응답, 성공적인 응답, 리다이렉트, 클라이언트 에러, 서버 에러. xx사진으로 나타낸 HTTP 상태 코드를 보자. 1XX Informational : 정보 전달 - 요청을 받았고, 작업을 진행 중이라는 의미. HTTP/1.0 이후 한동안 쓰이지 않아 서버도 클라이언트에 이 코드를 보내지 않았지만, 최근 101의 경우 WebSocket 등에서, 103의 경우 페이지 로드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서 다시 쓰이기 시작. 2XX Success : 성공 - 이 작업을 성공적으로 받았고, 이해했으며, 받아들여졌다는 의미. 200, 204, 206을 제외하고는 볼 일이 거의 없는 코드. 3XX..

파이썬에서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개념들이 있다. 라이브러리, 패키지, 모듈, 클래스, 함수 등이 파이썬을 다루기 위해서는 한 번쯤은 개념 정리를 하고 넘어가야 하는 용어다. 용어 순서대로 하위 항목들을 포함하고 있다. 라이브러리 > 패키지 > 모듈 > 클래스 > 함수 이번 포스팅에서는 함수의 개념을 알아보자. 파이썬 공식 문서에서 작성된 개념은 입문자들에게 어려움이 존재하니 국내에서 잘 작성된 페이지에서 정리하였다. 출처는 포스팅 제일 하단에 적어두었다. 함수(Function) 입력값을 가지고 어떤 일을 수행한 다음에 그 결과물을 내어놓는 것. y = 2x + 3도 함수이다. 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똑같은 내용을 반복해서 작성하고 있는 자신을 발견할 때가 종종 있다. 이때 바로 함수가 필요하다. 즉 반복..